목록부동산 용어 (123)
리셋라이프

민간임대주택(民間賃貸住宅, Private Rental Housing)은 민간 사업자가 공급하고 운영하는 임대주택을 의미합니다. 이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운영되며, 장기임대, 단기임대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됩니다.민간임대주택은 임대사업자에게는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세입자에게는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1. 민간임대주택의 개념과 법적 근거민간임대주택은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정의되며, 일정 기간 동안 임대 의무를 갖는 주택을 의미합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주요 특징임대 의무기간 준수, 세제 혜택 제공주체개인 임대사업자, 법인임대 기간단기 (4년) / 장기 (8년 이상)2. 민간임대주택의 유형📌 1) 단기임대주택 (4년 임대) ..

난방설비(暖房設備, Heating System)란 건물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난방 방식은 주로 온수, 증기, 전기, 공기 등을 이용하며, 건물의 구조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됩니다.난방설비는 에너지 효율, 초기 설치비, 유지보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하며, 적절한 시스템을 도입하면 난방비 절감 및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1. 난방설비의 주요 방식난방설비는 크게 개별난방, 중앙난방, 지역난방으로 나뉘며, 각 방식은 운영 방식과 에너지 효율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구분설명대표적 적용 대상개별난방각 가정 또는 개별 세대에서 직접 난방 제어단독주택, 아파트중앙난방한 건물에서 중앙 보일러로 난방을 공급빌딩, ..

주상복합아파트(住商複合公寓, Mixed-Use Apartment)는 주거 시설과 상업 시설이 함께 결합된 복합용도의 건물을 의미합니다. 주거용 아파트와 백화점, 상가, 오피스 등이 함께 존재하여 도심지 내 편리한 생활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하지만 주거환경과 상업시설의 공존으로 인해 소음, 주차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 및 실거주 시에는 장점과 단점을 신중히 비교해야 합니다. 1. 주상복합아파트의 개념과 특징주상복합아파트는 도심 지역에 건설되어 주거와 상업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건축물로, 주로 일반상업지역이나 준주거지역에 위치합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건축법」, 「국토계획법」주요 특징주거 공간과 상업 공간이 결합된 복합단지입지도심 중심부, 역세권, 상업지역용적률최대 1300% (일반 아..

토지형질변경(土地形質變更, Land Reformation)이란 토지의 원래 상태를 변경하여 지목을 바꾸거나 개발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에 따라 관리되며, 허가가 필요한 행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토지형질변경은 건축, 농업, 공업, 주거지 개발 등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개발 허가 및 환경 영향 평가 등의 절차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1. 토지형질변경의 개념과 법적 근거토지형질변경은 「국토계획법」 제56조 및 지자체 조례에 따라 시행됩니다. 이는 자연 상태의 토지를 매립, 절토, 성토, 평탄화 등의 방식으로 변형하는 행위를 포함합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국토계획법」 제56조, 개발행위 허가 기준주요 목적지목 변경, 건축물 건설, 도로 개설,..

전용주거지역(專用住居地域)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거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용도지역입니다. 상업시설이나 공장 등의 건축이 제한되며,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엄격한 규제를 적용합니다.전용주거지역은 1종 전용주거지역과 2종 전용주거지역으로 구분되며, 건폐율과 용적률 등의 기준이 다릅니다. 따라서 부동산 개발 및 투자 시 해당 지역의 용도 규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1. 전용주거지역의 개념과 법적 근거전용주거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따라 주거 중심의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용도지역입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주요 목적주거환경 보호 및 생활환경 개선구분1종 전용주거지역, 2종 전용주거지역건..

집행권원(執行權原, Enforceable Title)은 법원이 판결이나 결정 등을 통해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해 강제집행을 할 수 있도록 인정한 법적 권리를 의미합니다. 즉, 채권자가 법적으로 강제집행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대표적인 집행권원에는 확정된 법원 판결, 지급명령, 공정증서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채권자는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로 압류하거나 배당받을 수 있습니다.1. 집행권원의 개념과 법적 근거집행권원은 「민사집행법」 제24조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해 강제집행을 진행하려면 반드시 집행문이 부여된 집행권원이 필요합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민사집행법」 제24조주요 역할채권자가 강제집행을 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대표 사례확정 판결, 지급명령, 공정증서강제집행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