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동산 용어 (123)
리셋라이프

근린상업지역(近隣商業地域)은 도시계획에서 정의하는 상업지역의 한 종류로, 주거지와 가까운 상업 활동 중심의 지역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주민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상업시설을 포함하고 있어, 상업적 편리성을 제공하는 지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근린상업지역은 주택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 상업시설과 주거가 조화를 이루는 지역입니다. 이러한 지역은 편의점, 소매점, 음식점, 서비스업체 등이 밀집하여, 거주민의 생활 편의를 증대시키는 공간으로 활용됩니다.1. 근린상업지역의 법적 기준근린상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에 근거하여 규제되며, 상업과 주거의 혼합을 고려한 지역으로, 다양한 용도가 허용됩니다. 이 지역은 주거지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건폐율과 용적률이 상대적으로 낮..

건강친화형주택(健康親和型住宅, Health-Friendly Housing)이란 거주자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시공된 주택을 의미합니다. 주거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기 오염, 소음, 유해물질, 실내 습도 등 환경 요소를 최소화하여 건강한 생활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최근 정부 정책과 친환경 건축 트렌드에 따라 건강친화형주택 인증제도가 도입되었으며, 다양한 신축 아파트 및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1. 건강친화형주택의 개념과 법적 근거건강친화형주택은 「건강친화형 주택 인증제도」 및 「건축법」 등에 기반하여 조성되며, 거주자의 건강 보호를 목적으로 실내 환경을 최적화하는 주거 유형입니다. 이러한 주택은 공기 질, 소음, 유해물질, 실내 온도와 습도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고려하여 건..

신탁등기(信託登記, Trust Registration)란 부동산을 신탁할 때 소유권을 신탁회사나 수탁자의 명의로 변경하여 등기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신탁법」 및 「부동산등기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며, 재산 관리 및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신탁등기를 하면 신탁회사가 부동산을 관리·운용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가지게 되며, 신탁 계약에 따라 수익자가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1. 신탁등기의 개념과 법적 근거신탁등기는 「신탁법」과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이루어지며, 신탁 계약의 성립 후 부동산 소유권을 신탁회사(수탁자) 명의로 변경하는 과정입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신탁법」 제4조, 「부동산등기법」 제41조주체위탁자(소유자), 수탁자(신탁회사), 수익자목적부동산의..

건물시가표준액(建物市價標準額, Standard Building Price)은 건물의 과세 기준이 되는 가격으로, 취득세, 재산세 등 각종 세금을 산정할 때 활용되는 공시가격입니다.이는 「지방세법」 및 「지방세법 시행령」에 따라 매년 조정되며, 국세청과 지자체에서 공시하는 건물 기준 시세로 사용됩니다.1. 건물시가표준액의 법적 개념건물시가표준액은 「지방세법」 제4조 및 시행령에 따라 정해지며, 부동산 세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입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지방세법」 제4조, 「지방세법 시행령」산정 기준건물 유형, 구조, 용도, 지역별 특성 반영적용 대상취득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등공시 주체국세청, 지방자치단체2. 건물시가표준액의 산정 방식📌 1) 건물의 구조 및 용도 반영- 철근콘크리트, 조적조, 목..

환지처분(換地處分, Land Readjustment Disposition)은 도시개발사업에서 기존 토지를 재배치하여 새롭게 구획하는 방식으로, 토지 소유자에게 새롭게 조성된 필지를 배분하는 법적 행위를 의미합니다.이는 「도시개발법」 및 「토지구획정리법」에 따라 이루어지며, 토지 소유자는 자신의 기존 토지를 상응하는 가치의 새로운 필지로 변경받게 됩니다.1. 환지처분의 개념과 법적 근거환지처분은 「도시개발법」 제41조 및 「토지구획정리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며, 도시 개발 과정에서 토지 소유자의 재산권을 보호하면서 효율적인 토지 이용을 도모하는 방식입니다.구분설명법적 근거「도시개발법」 제41조, 「토지구획정리법」핵심 개념기존 토지를 정비 후 새로운 필지로 교환하는 방식적용 대상도시개발사업, 재개발사업, 토..

반대급부(反對給付, Consideration)란 계약 관계에서 한쪽이 어떤 의무를 이행하는 대가로 상대방이 제공하는 경제적 가치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계약이 성립할 때 양 당사자가 서로 주고받는 대가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계약법과 경제에서 반대급부는 공정한 거래를 유지하고 계약의 구속력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매매 계약에서 구매자는 돈을 지급하고, 판매자는 물건을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인 반대급부의 예입니다.1. 반대급부의 법적 개념반대급부는 「민법」 및 계약법의 기본 원칙 중 하나로, 계약 당사자 간의 의무와 권리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계약 당사자들이 서로 상호 의존적이고 공정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계약의 법적 효력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