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19)
리셋라이프

자연녹지지역(自然綠地地域)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에서 정의하는 도시 용도지역 중 하나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제한적인 개발이 허용되는 지역입니다.주거 및 상업시설 개발이 가능하지만, 고밀 개발은 제한되며, 저층 위주의 건축만 허용됩니다. 주로 도시 외곽, 산림 지역, 전원주택 단지 등에 지정되며, 환경을 고려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1. 자연녹지지역의 법적 기준 및 용적률자연녹지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따라 정의되며,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세부적인 개발 규제 및 용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구분건폐율(%)용적률(%)자연녹지지역20% 이하100~150%✅ 건폐율 20% 이하 → 토지의 80% 이상을 녹지로 유지해야 함.✅ 용적률 100~..

일반상업지역(一般商業地域)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상업지역 용도구역 중 하나로, 도시 내에서 상업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지역을 의미합니다.주거와 업무, 상업 기능이 함께 존재할 수 있으며, 초고층 개발이 가능하여 부동산 투자 및 개발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됩니다.1. 일반상업지역의 법적 기준 및 용적률일반상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 제36조에 따라 정의되며,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세부적인 건축 가능 용도와 규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구분건폐율(%)용적률(%)허용 용도일반상업지역80% 이하400~1300%상업시설, 업무시설, 오피스텔, 주거시설, 문화시설2. 일반상업지역에서 허용되는 건축물📌 상업·업무 중심 기능- 백화점, 쇼핑..

준주거지역(準住居地域)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도시 용도지역 중 하나로, 주거 기능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일부 상업 기능을 허용하는 지역을 의미합니다.주택과 함께 상업 시설(근린생활시설, 오피스텔, 업무시설 등)이 혼합될 수 있는 지역이며, 일반 주거지역보다 고밀 개발이 가능하여 부동산 개발 및 투자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됩니다.1. 준주거지역의 법적 기준 및 용적률준주거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 제36조에 따라 정의되며, 「건축법」 및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구체적인 용도와 건축 규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구분건폐율(%)용적률(%)허용 용도준주거지역70% 이하200~500%주거시설, 오피스텔,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2. 준주거지역에서 허..

노유자시설(老幼者施設)은 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축법, 주택법, 사회복지법 등 다양한 법률에서 규정하며, 주로 사회적 약자의 보호와 복지를 위한 공공 및 민간 시설을 포함합니다. 1. 노유자시설의 법적 정의노유자시설은 「건축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등에 의해 규정됩니다.법령노유자시설 정의 및 관련 내용「건축법」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을 위한 시설로 구분하여 안전 및 설비 기준 설정「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특정 용도지역에서 허용되는 노유자시설의 범위 규정「사회복지사업법」노인복지시설, 아동복지시설 등의 기준과 운영 방법 제시2. 노유자시설의 종류 및 활용📌 주요 노유자시설 분류1) 어린..

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지구단위계획구역 동의서를 받아야 합니다. 동의서 확보는 재개발 사업의 필수 절차이며, 법적 요건과 규제 사항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1. 지구단위계획구역이란?지구단위계획구역(地區單位計劃區域)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에 의해 지정된 지역으로, 해당 지역의 효율적인 토지 이용과 체계적인 도시 정비를 위한 세부적인 개발 계획이 수립됩니다.📌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주요 목적- 무분별한 개발 방지 및 체계적인 도시개발 유도- 기반시설(도로, 공원, 주차장 등) 확보- 건축물 용도, 밀도(용적률·건폐율) 조정- 환경·경관 조화를 고려한 도시계획 수립2. 지구단위계획구역 동의서란?지구단위계획구역 동의..

부동산 투자와 건축을 계획할 때 토지 용도지역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한민국의 도시계획법에서는 토지 활용을 제한하기 위해 용도지역을 나누고 있으며, 그중 제1종, 제2종,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도시 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주거지역 유형입니다.이 글에서는 각 주거지역의 법적 차이점과 활용 방식을 깊이 있게 분석하여, 투자자와 건축주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일반주거지역이란?일반주거지역은 주택의 건설과 거주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지정된 용도지역입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에 따라 제1종, 제2종,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일반주거지역의 특징- 주택 위주의 개발- 상업·공업 시설 제한- 층수 및 용적률 규제- 주택 유형 제한 ..